【충북 브레이크뉴스】임창용 기자=충청북도교육청(교육감 윤건영)은 24일, 교육연구정보원에서 <2025. 유‧초등 학교관리자 역량강화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초등학교 교장 및 유치원 원장, 교육지원청 및 직속기관 부장, 과장 등 270여 명이 참석하였다.
<섬세한 지원으로 모든 아이의 가능성을 높이다>를 주제로 5대 핵심정책 연계 교육과정 운영 우수사례 나눔, 정책 특강, 유아 쭉쭉습관, 초등 똑똑습관 공연, 핵심 사업 안내 순으로 운영하였다.
우수사례 나눔시간에는 박화영 탄금초등학교장이 교직원들에게 <학생 교육에 가장 이롭게 하라>를 가장 강조하고 있다며 충북교육의 5대 핵심정책과 연계한 교육과정을 운영한 사례를 공유하며 관리자의 역할을 말했다.
태블릿 PC 기반의 미래교육실 구축, 창의 놀이실과 맘껏 놀이실 구축, 기초학력 전담 교사제 운영, 전교생 학교도서관 이용 과제, 충주시 교육발전특구 공모 사업 운영 등 충북 5대 핵심 정책이 어떻게 탄금초 교육과정에 녹였는지 노하우를 공유했다.
이어, 정책특강에서 서울대학교 김동일 교수는 경계선 지능 학생의 이해와 교육적 지원을 주제로 경계선 지능 학생을 위한 다양한 지원 체제에 대해 고민하고 학습지원 강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아이성장 골든타임 2.0 선포식>에서 선보인 유아쭉쭉 습관 및 초등 똑똑 습관 공연을 통해 충북 도내 모든 유‧초등학교에서 유아, 초등학생의 바른 기초습관 형성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충북교육청의 다양한 정책들을 공유하며 학교 현장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윤건영 교육감은 “격차를 줄이고 모두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의 실질적인 변화가 필요하며 결국 교장 선생님들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올 한해도 교장선생님들과 함께 충북교육을 튼튼하게 다져가는데 열정적으로 동행해주었으면 한다. 학교 현장을 위해 무엇을 더 도울 수 있을지, 어떤 지원이 필요할지 끊임없이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hungbuk Office of Education, '25-year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 capacity building workshop held
The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Yoon Geon-young) held the <2025. Elementary and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 capacity building workshop> at the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Institute on the 24th.
About 270 people including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kindergarten directors, education support offices and direct agency directors, and managers attended.
The event was held in the order of sharing best practices of operating a curriculum linked to the five core policies, policy special lectures, performances of the Early Childhood Jjukjjuk Habits and Elementary Smart Habits, and introduction to core projects under the theme of <Increasing the Potential of All Children with Detailed Support>.
During the time for sharing best practices, Principal Park Hwa-young of Tangeum Elementary School emphasized to the teachers and staff the most, <Make the most benefit to student education>, and shared examples of operating a curriculum linked to the five core policies of Chungbuk education, and explained the role of administrators. He shared his know-how on how the five core policies of Chungbuk,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tablet PC-based future education room, the establishment of a creative playroom and a free playroom, the operation of a system of teachers dedicated to basic academic skills, the assignment of using the school library for all students, and the operation of the Chungju City Education Development Special Zone public contest project, were incorporated into the Tangeum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Next, in a policy lecture, Professor Kim Dong-i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ad time to think about various support systems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explore ways to strengthen learning support under the theme of understanding and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In addition, through the performances of the “Child Growth Golden Time 2.0 Declaration Ceremony” for children, “Early Childhood Habits” and “Elementary Smart Habits,” all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n Chungbuk Province shared their thoughts on the importance of forming good basic habits for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Lastly, he shared various policies of the Chungbuk Office of Education and provided guidance so that they could be established in schools. Superintendent Yoon Geon-young said, “In order to reduce the gap and support everyone’s growth, we need to make real changes in the school field, and ultimately, the role of the principals is the most important. I hope that you will continue to passionately work with the principals to strengthen Chungbuk education this year. I will constantly think about what more I can do to help the school field and what kind of support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