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충북지역 기업체, 대내외 리스크 요인에 경기 회복 어려움
내수부진에 수출둔화, ‘경기회복 난항’
기사입력  2025/03/25 [14:23]   임창용 기자

  【충북 브레이크뉴스】임창용 기자=충북지역 기업경기전망지수가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치를 크게 밑돌며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청주상공회의소(회장 차태환)에서 지난 2월 21일부터 3월 7일까지 도내 193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2025년 2/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2분기 체감경기 전망치가 전 분기 대비 7포인트 상승한 ‘77’로 집계됐다.

 

▲ 최근 기업경기실사지수 (BSI) 전망치 추이. / 청주상공회의소 제공     

 

기업경기전망지수가 100 이상이면 이번 분기보다 다음 분기에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청주상공회의소는 “2024년 2분기 이후 1년 만에 기업경기전망지수가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치를 크게 밑도는 상황”이라며, “정국 불안과 트럼프 발 관세정책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경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어 경기 회복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항목별 전망으로 체감경기(77)[70->77], 매출(84)[73->84], 영업이익(76)[68->76], 설비투자(91)[87->91], 자금사정(71)[66->71] 등 모든 항목이 전 분기보다 소폭 상승한 수치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부진 수준으로 머물렀다.         

 

기업 규모ㆍ형태별로는 대기업(86)[91->86]과 수출기업(81)[85->81]은 전 분기 대비 하락한 반면 중소기업(76)[68->76]과 내수기업(76)[66->76]은 전 분기 대비 상승했으며, 모든 항목이 부진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 설정한 목표치와 비교한 올해 매출액 계획 수준에 대해서는‘소폭 상향[10% 이내](28.3%)’, ‘지난해 수준(27.2%)’, ‘소폭 하향[10% 이내](26.7%)’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투자실적 목표치 계획 수준에 대해서는 ‘지난해 수준(42.3%)’, ‘소폭 하향[10% 이내](26.7%)’, ‘소폭상향[10% 이내](13.7%)’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사업 실적에 가장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대내외 리스크 요인에 대해서는‘내수경기 부진(66.1%)’, ‘원부자재 가격 상승(41.1%)’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이어‘트럼프潑 관세정책(28.6%)’,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22.9%)’ 순으로 나타났다.

 

 청주상공회의소 최상천 본부장은 “내수침체가 가장 큰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된 만큼, 내수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강화와 과감한 세제 혜택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라며, “특히, 트럼프 관세정책 등에 따라 대기업, 수출기업 체감경기 전망이 하락한 만큼,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시장개척 및 공급망 다변화 등의 정책적 지원이 시급해 보인다”고 전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hungbuk region compani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isk factors, economic recovery difficult

Slow exports due to sluggish domestic demand, ‘difficult economic recovery’

 

The Chungbuk region’s business outlook index rose slightly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but it is still significantly below the baseline, continuing a sluggish trend.

 

According to the ‘2025 Q2/Q4 Business Outlook Index (BSI: Business Survey Index)’ survey conducted by the Cheongju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Chairman Cha Tae-hwan) from February 21 to March 7 targeting 193 manufacturing companies in the province, the perceived economic outlook for the second quarter was tallied at ‘77,’ up 7 points from the previous quarter.

 

If the business outlook index is over 100, there are more companies that expect the economy to improve in the next quarter than in the current quarter, and the opposite is true if it is under 100.

 

The Cheongju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stated, “The business outlook index has risen for the first time in a year since the second quarter of 2024, but it is still significantly below the baseline,” and diagnosed, “The political instability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uncertainties such as Trump’s tariff policy are putting downward pressure on the economy, making it difficult for the economy to recover.”

 

In terms of the outlook by item, all items, including the perceived economy (77)[70->77], sales (84)[73->84], operating profit (76)[68->76], facility investment (91)[87->91], and financial situation (71)[66->71], recorded slightly higher figures than the previous quarter, but still remained at a sluggish level.

 

By company size and type, large corporations (86)[91->86] and export companies (81)[85->81] declined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whil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76)[68->76] and domestic companies (76)[66->76]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and all items remained at a sluggish level.

 

Regarding the sales plan level this year compared to the target set last year, the order was ‘slightly upward [within 10%] (28.3%)’, ‘last year’s level (27.2%)’, ‘slightly downward [within 10%] (26.7%)’, and the order was ‘last year’s level (42.3%)’, ‘slightly downward [within 10%] (26.7%)’, ‘slightly upward [within 10%] (13.7%)’.

 

Regard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isk factors expect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the most common responses were ‘sluggish domestic demand (66.1%)’ and ‘rising raw material prices (41.1%)’, followed by ‘Trump’s tariff policy (28.6%)’ and ‘domestic political uncertainty (22.9%)’.

 

Choi Sang-cheon, head of the Cheongju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said, “Since domestic demand stagnation was found to be the biggest risk factor, financial support for stimulating domestic demand and bold tax benefits should be supported,” adding, “In particular, since the economic outlook for large companies and exporters has declined due to Trump’s tariff policy, etc., policy support for developing new markets and diversifying supply chains seems urgent in order to respond to uncertainty in the trade environment.”

ⓒ 충북 브레이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영상]옥천군, 제23회 옥천묘목
많이 본 뉴스
광고
광고
광고
광고